
구글 검색광고 상단 노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키워드 전략 및 설정일 것입니다. 구글 검색 광고에서 키워드를 전략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중 하나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 유형을 파악하고 알맞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키워드 검색 유형이란? 키워드 검색 유형은 검색 광고에서 키워드를 설정하면 설정한 키워드가 사용자가 검색했을 때의 검색어가 적절하게 매칭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옵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검색 유형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어와 키워드가 매칭이 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설정을 스마트폰이라고 설정했지만, 어떠한 키워드 검색 유형으로 설정을 했느냐에 따라서 구글 사용자가 '최신 스마트폰 추천'으로 검색했을 때 광고가 노출이 ..

구글애즈 광고 운영 중에 작동하지 않는 도착페이지로 비승인이 되셨나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동하지 않는 도착페이지가 뭔지 그리고 원인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1. 작동하지 않는 도착페이지 비승인 원인 구글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용자가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클릭을 했는데, 페이지가 열리지 않거나 너무 느리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만족도는 떨어집니다. 따라서, 구글입장에서는 페이지가 잘 작동되지 않는다면 광고를 보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좋은 광고라고 판단하지 않을 것입니다. 구글 광고에서는 이와 같이 페이지 속도가 느리거나 작동하지 않는다면 비승인 사유인 '작동하지 않는 도착 페이지'로 식별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여기서부터 일 것입니다. 분..

구글 광고를 운영하다 보면 민감한 사건과 관련된 광고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데도 왜 민감한 사건으로 비승인이 되어 있는지 의아할 때가 있습니다. 1. 구글광고에서 민감한 사건 정의 구글애즈에서 정의하는 민감한 사건의 비승인 사유는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영향이 큰 민감한 사건으로부터 잠재적으로 이익을 얻거나 악용하는 광고"를 말합니다. 민감한 사건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국민의 마음을 아프게 했던 '천안함사건', '세월호사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대표적인 예로는 '9.11 테러'일 것입니다. 민감한 사건들은 그 외에도 무수히 많겠지만, 이러한 사건들을 이용하여 광고를 한다면 실제 악의적인 의도가 없다고 해도 구글 시스템 검수에서는 비승인 사유로 식별이될 수 있습니다. 2. 현 시점..

구글 광고를 운영하다 보면 구글 정책 위반이 식별되어 비승인 혹은 제한적 승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식별된 비승인과 관련된 내용을 구글 애즈 고객센터에서 확인을 해서 알맞게 수정을 했거나, 애초에 광고가 식별된 비승인하고는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구글 광고에서의 비승인은 시스템 검수에 의해서 이뤄집니다. 따라서, 시스템 검수가 모든 광고를 완벽하게 판단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검수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의신청'을 직접 해보실 수 있습니다. 1. 광고 비승인에 대한 이의신청하는 방법 화면 우측 상단 [도구 및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 탭 아래의 [정책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정책 문제 페이지 중앙의 해당 비승인 사유 항목에서 [광고보기]를 클릭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