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독재국가 하면 일반적으로 북한을 가장 많이 떠오를 것입니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에도 북한 외에도 전 세계에 수많은 독재국가들이 존재합니다. 독재 국가를 크게 군부 독재 국가와 일당 독재 국가로 나누기도 합니다. 군부 독재와 일당독재 모두 하나 또는 소수의 권력이 독점하여 나라를 운영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현존하는 군부독재 국가와 일당 독재 국가를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독재국가-알아보기
김정은-사진

군부 독재

군사력을 지닌 군대의 지휘관이나 군인 출신의 인사가 국가의 정치 기관을 통제하여 독단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군부 독재 국가들은 군대가 쿠데타를 일으켜 기존의 정부를 무너뜨린 경우가 다수입니다.

 

군부 독재 국가


 

수단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49위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넓은 영토를 가진 수단은 2019년 4월 11일에 30년간 독재를 한 대통령을 몰아내고  수단 군대가 정부와 입법부를 장악했습니다. 장기 독재자를 몰아냈음에도 군사 독재가 계속 이어지면서 현재 수단의 정치는 여전히 불안한 상태이며, 경제 상황도 1인당 GDP가 지속해서 감소하는 등 심각한 상태입니다.

 

 

말리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19위

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말리는 코로나 시대인 2020년 8월 18일에 말리 군대가 다수의 고위 관리를 체포하면서 군대가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이미 군사 정권이 들어서기 전부터 내전으로 다소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한 상황이었으며, 군사 정권이 들어선 현시점에도 크게 나아지고 있지 않습니다.

 

 

미얀마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66위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미얀마는 2021년 2월 1일에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를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했습니다. 해당 사건으로 국민들이 크게 반발하여 국제적인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민주주의 지수가 북한 다음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만 봐도 미얀마 독재의 심각성을 볼 수 있습니다.

 

 

차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60위

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한 내륙국인 차드는 2021년 4월 20일에 독재를 이어온 대통령이 반군 단체에 의해 암살을 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국민의 안전을 명분으로 군부가 직접 정치에 개입하고 통치하게 되었습니다.

 

 

* 관련 글:
 

북한과 현존하는 공산주의 국가들 알아보기

보통 공산주의하면 '북한'을 많이 떠오를 것이고, 북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 중 하나는 '독재'일 것이다. 북한은 공산주의의 이념을 따르는 국가이면서 김정은이 모든 권력을 쥐고 운영

tryonemore.tistory.com

 

일당 독재

일당 독재는 집권한 당이 정치권력을 독식하여 국가를 마음대로 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군부독재 국가들의 다수가 아프리카에 있는 반면 일당 독재 국가는 아시아에 비교적 많은 편입니다.

 

일당 독재 국가


 

 

중국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48위

중국은 지난 71년 동안 공산당이 정치를 통제해왔습니다. 비교적 우리에게는 북한과 더불어 잘 알려진 대표적인 일당 독재 국가 중 하나입니다.

 

 

라오스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59위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중국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입니다.

라오스 인민 혁명당은 지난 45년 동안 정치적 통제를 해왔으며, 라오스 정부를 비방을 한다면 실종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베트남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31위

베트남 공산당은 지난 46년 동안 베트남을 통치해왔습니다. 언론이 매우 폐쇄적이고 1당 체제를 계속해서 고집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체제를 수용하여 경제적으로는 중국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는 일당 독재 국가입니다.

 

 

북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에 167위

조선노동당이 집권한 북한은 우리에게는 매우 잘 알려진 대표적인 독재 국가입니다. 일당 독재 체제와는 별개로 이미 3대 세습 독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일당 독재 국가들은 정치적으로는 독재를 고집해도 경제적으로는 개방을 하는 편이지만, 북한은 경제 체제 또한 굉장히 폐쇄적이기에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는 독재 국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