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최저시급은 23년 기준 9620원으로 일본보다 약 900원 정도 높습니다. 환율의 영향도 있겠지만, 최저시급 기준으로는 이미 일본을 넘어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한국의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240원 인상됩니다. 최저시급이 2만 원을 넘는 룩셈부르크나 1만 원을 우습게 넘는 유럽 국가들에 비하면 아직도 부족해 보이지만, 최저 시급 기준으로는 한국이 아시아 넘버 1이 되었습니다. 최저시급 높은 나라들 확인 한국의 최저시급 기준 월급은 얼마인지와 더불어 미국의 최저시급과 최저시급이 없는 국가들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한국 2024년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206만 740원으로 23년에 201만 580원에 비해 약 5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최근 물가를 고려하..

흑인의 근육량과 압도적인 피지컬을 보면 운동을 잘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있습니다. 이러한 선입견이 틀리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듯이 육상과 농구, 미식축구 등에서 흑인들은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수영만큼은 흑인이 못한다는 편견이 지배적으로 많습니다. 실제로 흑인 수영선수를 찾아보기도 힘들며, 올림픽에서 흑인 수영선수가 메달을 딴 사례도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흑인이 정말 수영을 못해서 흑인 수영선수가 드문 건지 만약 진짜 흑인이 수영을 못한다면 왜 못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흑인의 신체구조 흑인이 수영을 못하는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흑인의 신체구조입니다. 흑인은 타인종에 비해서 근육량이 많고 근육밀도도 높기 때문에 물에 쉽게 잠긴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또한, 흑인..

이탈리아는 남부 유럽에 위치한 장화 모양의 반도 국가입니다. 이탈리아 영토 면적은 남한의 약 3배 정도 크며, 인구 또한 남한 인구보다 약 1000만 명정도 많은 6,000만 명입니다. 과거 그리스와 로마제국의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남아 있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관광대국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 나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이탈리아의 전체 GDP는 세계 10위에 랭크되어 13위인 한국보다 높으며, 국민 1인당 GDP 또한 29위로 30위인 한국보다 근소하게 앞서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강대국의 최소조건을 갖춘 나라라는 평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탈리아의 최저임금과 평균 월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관련글 강대국의 기준은 무엇이며 한국은 강대국인가 포르투갈 - 최저임금과..

미국은 강대국을 넘어선 초강대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초강대국으로 불리는 데는 다른 강대국들보다 모든 지표에서 압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미국이 강대국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미국의 역사가 길지가 않은 것도 있지만 강대국의 반열에 올랐던 것은 1900년대 초로 불과 100년이 겨우 넘었습니다. 하지만 역으로 보면 미국은 지난 1세기가 넘도록 초강대국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이 강대국으로 성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의 지리적 위치 만약 미국이 다른 강대국들과 인접해 있었다면 빠르게 초강대국으로 우뚝 서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어느 한 나라가 강해지면 인접해 있는 국가는 경계를 하기 마련이고, 인접해 있는 국가가 경제나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클..

강대국 하면 보통 미국을 가장 먼저 떠오르곤 합니다. 그다음은 미국에 세계 패권을 도전하는 중국 정도를 강대국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수많은 전문가들과 더불어 일반인 사이에서도 강대국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외에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까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강대국으로 칭하는데 큰 이견이 없어 보입니다. 강대국의 기준 사실 강대국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개념이나 정의는 정확하게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에 따라서 이 정도면 강대국으로 인정해야지 하는 대략적인 감으로 구분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이 강대국의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 의견이 갈리도 합니다. 강대국 최소한의 기준되는 나라 정확한 정의는 존재하지는 않지만 강대국의 최소한의 기준으로 보는 ..

전 세계 어디서나 국가 간의 갈등은 존재합니다. 특히 한중일과 같이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면 영토, 역사, 문화 등의 여러 요인들로 발생합니다. 중동에서는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이란과 사우디가 관계가 좋지 않습니다. 지하자원이 풍부한 두 나라는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두 나라의 관계는 중동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이슈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란과 사우디의 국제 관계 이란과 사우디는 중동을 두고 패권을 경쟁하고 있기에 동맹국들의 지지와 관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란과 사우디 사이가 좋지 않은 이유를 알기 전에 두 나라의 국제 관계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습니다. 사우디는 중동의 친서방을 대표하는 국가로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이란은 중동의..